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wift] 크레인 인형뽑기 게임 - 2차원 배열
    developing study 2024. 9. 5. 17:27

    LV1.의 난이도 낮은 문제였고 이차원 배열 개념을 잊어 시간이 걸렸다............

    이차원 배열 표현시 가로, 세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잊지 말자... 쫌

     

    문제 보기

    더보기

    게임개발자인 "죠르디"는 크레인 인형뽑기 기계를 모바일 게임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죠르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기 위해 화면 구성과 규칙을 다음과 같이 게임 로직에 반영하려고 합니다.

    게임 화면은 "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N x N" 크기의 정사각 격자이며 위쪽에는 크레인이 있고 오른쪽에는 바구니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5 x 5" 크기의 예시입니다). 각 격자 칸에는 다양한 인형이 들어 있으며 인형이 없는 칸은 빈칸입니다. 모든 인형은 "1 x 1" 크기의 격자 한 칸을 차지하며 격자의 가장 아래 칸부터 차곡차곡 쌓여 있습니다. 게임 사용자는 크레인을 좌우로 움직여서 멈춘 위치에서 가장 위에 있는 인형을 집어 올릴 수 있습니다. 집어 올린 인형은 바구니에 쌓이게 되는 데, 이때 바구니의 가장 아래 칸부터 인형이 순서대로 쌓이게 됩니다. 다음 그림은 [1번, 5번, 3번] 위치에서 순서대로 인형을 집어 올려 바구니에 담은 모습입니다.

    만약 같은 모양의 인형 두 개가 바구니에 연속해서 쌓이게 되면 두 인형은 터뜨려지면서 바구니에서 사라지게 됩니다. 위 상태에서 이어서 [5번] 위치에서 인형을 집어 바구니에 쌓으면 같은 모양 인형 두 개가 없어집니다.

    크레인 작동 시 인형이 집어지지 않는 경우는 없으나 만약 인형이 없는 곳에서 크레인을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또한 바구니는 모든 인형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고 가정합니다. (그림에서는 화면표시 제약으로 5칸만으로 표현하였음)

    게임 화면의 격자의 상태가 담긴 2차원 배열 board와 인형을 집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시킨 위치가 담긴 배열 mov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크레인을 모두 작동시킨 후 터트려져 사라진 인형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board 배열은 2차원 배열로 크기는 "5 x 5" 이상 "30 x 30" 이하입니다.
    • board의 각 칸에는 0 이상 100 이하인 정수가 담겨있습니다.
      • 0은 빈 칸을 나타냅니다.
      • 1 ~ 100의 각 숫자는 각기 다른 인형의 모양을 의미하며 같은 숫자는 같은 모양의 인형을 나타냅니다.
    • move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moves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이며 board 배열의 가로 크기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첫번째 풀이

    func solution(_ board:[[Int]], _ moves:[Int]) -> Int {
            var selectedArr : [Int] = []
            var answer : Int = 0
            var boardArr = board
    
    		for idx in moves {
                guard let currentItem = boardArr[idx-1].popLast() else {
                    continue
                }
                
                if currentItem == 0 {
                    continue
                }
                
                guard let last = selectedArr.last else {
                    selectedArr.append(currentItem)
                    continue
                }
               
                if last == currentItem  {
                    selectedArr.popLast()
                    answer += 2
                    
                    var idx = selectedArr.endIndex
                        while idx > 1 {
                            if selectedArr[idx] == selectedArr[idx-1] {
                                selectedArr.removeSubrange(selectedArr.endIndex-1...selectedArr.endIndex)
                                answer += 2
                            }
                            idx -= 1
                        }
                    
                    continue
                }
                selectedArr.append(currentItem)
            }
            return answer
        }

    테스트케이스는 운좋게 맞았던 것이다.

    코드 돌려보니 다 틀려버림... 그래서 문제를 잘못 이해했나 몇번이고 다시 봤다.

    그리고 2차원 배열에 대해 잘못 알고 있음을 알아버렸다.

     

    두번째 풀이

     func solution(_ board:[[Int]], _ moves:[Int]) -> Int {
            var selectedArr : [Int] = []
            var answer : Int = 0
            var boardArr = board
            
            for idx in moves {
                
                var line : Int = -1
                for j in 0..<board.count {
                    if boardArr[j][idx-1] != 0 {
                        line = j
                        break
                    }
                }
                
                if line == -1 {
                    continue
                }
                
                let currentItem = boardArr[line][idx-1]
               
                //뽑은 인형이 없었던 경우 그냥 넣기
                guard let last = selectedArr.last else {
                    selectedArr.append(currentItem)
                    boardArr[line][idx-1] = 0
                    continue
                }
               
                //뽑은 인형이 있었을 때 현재 아이템과 비교
                if last == currentItem  {
                    selectedArr.popLast()
                    boardArr[line][idx-1] = 0
                    answer += 2
                    continue
                }
                
                selectedArr.append(currentItem)
                boardArr[line][idx-1] = 0
            }
            return answer
        }

     

    풀이를 설명하면
    1. 2차원 배열의 열값의 모음인 moves에서 하나씩 빼오기

    2. 해당 열 값중 0이 아닌 값을 찾기

       2.1 0이 아닌 값이 없을 수도 있으므로 -1로 체크

    3. 뽑은 가장 최근 값(selectedArr) vs 현재 뽑은 값 비교해서 같으면 제거
      or 같은 값이 없으면 추가만 한다.
    4. 현재 뽑은 값은 0으로 만들어주기

     

     

    그리고 내가 헷갈렸던 2차원 배열 선언 부분


    2차원 배열

    선언과 접근하기

    [] 대괄호를 2번 사용해 선언.

    첫번째 대괄호 : 세로 크기

    두번째 대괄호 : 가로 크기 지정.

    →일반적으로 2차원 공간 = 가로x세로

    →배열로 만들 때 = 세로 x 가로임!!

     

    코드로 보면 이렇다.

    // 가로 4, 세로 5인 2차원 배열
    var array : [[Int]] = [
        [0,0,0,0],
        [0,0,1,0],
        [0,2,5,0],
        [4,2,4,4],
        [3,5,1,3]
    ]

     

    그래서 각 요소의 인덱스는 아래 그림과 같다. 접근시에도 아래와 같은 인덱스로 접근해야 한다.

     

     

     

     

     

    참고

    https://dojang.io/mod/page/view.php?id=1765

    'developing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탐욕법  (0) 2024.09.02
    [Swift] ArraySlice  (0) 2024.08.26
    [Swift] Combine - sink  (0) 2024.08.25
    TCA 적용해 iOS앱 만들기 - 첫번째  (0) 2024.08.24
    Swift - 비트연산자  (0) 2024.01.24

    댓글

Designed by Tistory.